윈도우11 설치가 안되는 PC는 어떻게 해야 되나?
윈도우 11은 보안과 성능 기준이 높아져서, 일부 PC는 공식적으로 설치가 막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TPM 2.0 미지원이나 구형 CPU 때문에 설치 불가 메시지가 많이 나와요.
✅ 윈도우 11 설치가 안 되는 PC에서 가능한 방법
1. 윈도우 10 그대로 사용 (가장 안정적)
- 윈도우 10은 2025년 10월 14일까지 보안 업데이트 지원됩니다.
- 최신 기능은 없지만 보안 패치와 안정성은 유지되므로 무리해서 업그레이드하지 않아도 돼요.
2.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 TPM 2.0 모듈을 메인보드에 장착할 수 있는 경우, 별도 구매 후 설치 가능
- BIOS에서 TPM 활성화 / 보안 부팅(Secure Boot) 활성화로 해결되는 경우도 많음
- CPU가 지원 목록에 없는 경우라면, 업그레이드가 사실상 불가능 → 새 PC 고려해야 함
3. 우회 설치 (비공식 방법, 권장하지 않음)
- 레지스트리 수정으로 CPU/TPM 검사 우회 가능
- 설치 중 Shift + F10 → 명령어 실행으로 레지스트리 편집
- 또는 Rufus 같은 툴로 "TPM/보안부팅 우회 옵션"을 켠 USB 설치 디스크 만들기
- 다만, 이 방법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보안 업데이트가 제한될 수 있고, 안정성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 실무/업무용 PC라면 추천하지 않음
4. 가상머신(VM) 활용
- 구형 PC라도 VMware, VirtualBox, Hyper-V 같은 가상머신에 윈도우 11을 설치 가능
- 다만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테스트용/개발용으로만 적합
⚠️ 정리
- 일반 사용자 → 윈도우 10 계속 사용 (2025년까지 문제 없음)
-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가능 → TPM 모듈 장착 & BIOS 설정 확인
- 실험/개인용 → 우회 설치 가능하나 안정성/보안 업데이트 제한 위험 존재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업무용 PC 추천 사양 (0) | 2025.09.08 |
---|---|
2025년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AI 도구들 (0) | 2025.09.07 |
2025년 가장 기대되는 스마트폰 TOP 7 (0) | 2025.09.07 |
2025년 세계에서 제일 많이 팔리는 스마트폰 (0) | 2025.09.07 |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방법 (0) | 2025.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