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맥북 프로그램 전환 방식 비교 : 전체화면 vs 여러 데스크탑, 뭐가 더 효율적일까?
맥북을 사용하다 보면 프로그램(앱) 전환을 손쉽게 하기 위해 4손가락 제스처를 자주 쓰게 됩니다.
이때 두 가지 방법이 있죠.
1️⃣ 여러 데스크탑(Spaces) 만들기
2️⃣ 앱을 전체화면(Fullscreen)으로 띄우기
둘 다 4손가락으로 좌우 스와이프하면 전환이 가능하지만,
시스템 자원(메모리·배터리·GPU)을 얼마나 쓰는지는 다릅니다.
오늘은 이 둘의 차이와 효율성을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 1. 여러 데스크탑(Spaces) 방식
- 설명: Mission Control(F3 또는 네 손가락 위로 스와이프)에서 여러 개의 가상 데스크탑을 만드는 기능입니다.
- 특징:
- 각 데스크탑은 독립된 작업 공간처럼 사용 가능
- 여러 앱을 자유롭게 창 형태로 배치
- 앱 간 드래그나 복사도 손쉽게 가능
- 전환: 네 손가락으로 좌우 스와이프하면 빠르게 전환
- 장점: 리소스 부담이 적고 부드러운 전환
- 단점: 전체화면 집중 작업에는 다소 불편
🧱 2. 전체화면(Fullscreen) 방식
- 설명: 앱 창의 좌측 상단 초록색 버튼을 눌러 화면 전체를 차지하는 모드입니다.
- 특징:
- 앱이 전용 전체화면 공간을 차지
- 다른 앱 창과 겹치지 않음
- Split View로 두 앱을 나란히 배치 가능
- 전환: 역시 네 손가락 좌우 스와이프
- 장점: 집중력 향상, 깔끔한 화면 구성
- 단점: 시스템 자원 사용량이 많고, 전환 시 약간의 GPU 부하 발생
⚙️ 성능 비교 테이블
| CPU 사용량 | 낮음 | 중간 |
| GPU 부하 | 낮음 | 높음 |
| 메모리 점유 | 적음 | 많음 (전용 공간 생성) |
| 전환 속도 | 빠름 | 약간 느림 |
| 배터리 효율 | 높음 | 낮음 |
| 집중도 | 보통 | 높음 |
| 추천 기기 | 맥북 Air / 8GB 이하 모델 | 맥북 Pro / 16GB 이상 모델 |
💡 결론
💬 시스템 리소스를 덜 쓰고 부드럽게 작업하려면 “여러 데스크탑”을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특히 맥북 Air나 8GB 메모리 모델은 전체화면보다 Spaces 분리 방식이 훨씬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반면 고성능 맥북 Pro 사용자라면, 전체화면 모드로 집중 작업을 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 실전 팁
- Control + ↑ : Mission Control 열기
- Control + → / ← : 데스크탑 전환
- + 버튼 클릭 : 새 데스크탑 추가
- 전체화면에서 Split View : 상단 초록색 버튼 길게 눌러 다른 앱 선택
👉 작업 스타일에 맞게 “공간 분리(Spaces)”와 “집중 모드(Fullscreen)”를 적절히 섞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 맥북 모델별 구입 링크
🔗 쿠팡에서 맥북 Air 검색하기
🔗 쿠팡에서 맥북 Pro 검색하기
🔗 쿠팡에서 M3 맥북 Air 검색하기
🔗 쿠팡에서 M3 맥북 Pro 검색하기
🔗 쿠팡에서 리퍼·중고 맥북 검색하기
📌 다른 블로그 바로가기
💼 직업 정보의 모든 것: http://jobsinfo.nanjobstory.com
💻 IT 정보의 모든 것: http://itinfo.nanjobstory.com
🍜 음식 정보의 모든 것: http://foodinfo.nanjobstory.com
🌏 여행 정보의 모든 것: http://travelinfo.nanjobstory.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각종 정보·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데이터 과학 입문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0) | 2025.10.28 |
|---|---|
| IT 뉴스와 정보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 (0) | 2025.10.27 |
| 노트북 수명 늘리는 관리 루틴 (2025 최신 가이드) (0) | 2025.10.23 |
| 맥북 퇴근 할 때 시스템 종료할까, 그냥 덮을까? (배터리·속도·수명 전부 고려한 현실 가이드) (0) | 2025.10.20 |
| 학생용 노트북 TOP 5 추천 (2025년 최신 가이드) (0) | 2025.10.20 |